본문 바로가기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웹브라우저 빠르게 하기 (with 램디스크 RAM Disk)


램디스크로 설정하여 브라우저 캐시로 사용하여 인터넷 서핑시 성능을 높이고자 함.

목차

  1. 램디스크 수동 설정(부팅시 직접 설정)
  2. 램디스크 자동 설정(부팅시 자동 설정)
  3. 웹 브라우저 캐시 설정 (크로미엄)

1. 램디스크 수동 설정

부팅시 마다 사용자가 실행해야 함.

# 원하는 위치에 디렉토리 만들기
sudo mkdir /media/ramdisk
sudo chmod 777 /media/ramdisk

# 램디스크 만들어 마운트 하기 (예시 1)
sudo mount -t tmpfs -o size=1G tmpfs /media/ramdisk

# 램디스크 만들어 마운트 하기 (예시 2)
sudo mount -t tmpfs -o size=512M tmpfs /media/ramdisk

# 램디스크 확인해보기
df -h

# 램디스크 해제하가
sudo umount /media/ramdisk

2.  램디스크 자동 설정

부팅시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됨.

#램디스크용 디렉토리 만들기
sudo mkdir /media/ramdisk
sudo chmod 777 /media/ramdisk

# 부팅시 자동 마운트 설정 파일 열기
sudo nano /etc/fstab

# 아래 내용 중 하나를 fstab 파일 끝에 추가한다.
tmpfs /media/ramdisk tmpfs nodev,nosuid,size=512M 0 0 
tmpfs /media/ramdisk tmpfs nodev,nosuid,size=1G 0 0 

# 확인해 보기
df -h

3.  웹 브라우저의 캐시 설정

램디스크를 브라우저 캐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1) 크로미엄 브라우저에서 캐시 설정법

 - 아이콘 우클릭 [속성]-[Desktop Entry] 에서 변경

# 아이콘-우측마우스클릭-속성-DeskEntry를 아래 내용으로 변경한다.
(당초) chromium-browser %U
(변경) chromium-browser %U --disk-cache-dir="/media/ramdisk"

 

  • 또는 설정파일에서 변경할 수 있다.
sudo vi /usr/share/applications/chromium-browser.desktop 

#아래 내용을 찾아서 변경한다.
(당초) Exec=chromium-browser %U
(변경) Exec=chromium-browser %U --disk-cache-dir="/media/ramdisk"

 

(2) 크로미엄 설치법

# 크로미엄 오픈소스 웹브라우저 설치법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chromium-browser

 

4.  firefox 메모리 캐시 설정

firefox 에서는 램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램을 캐시로 사용할 수 있다.

firefow 에 주소창에 about:config를 입력하여 환경설정으로 이동한다.

 

#firefox 주소창에 아래와 같이 적어 환경설정으로 이동한다
about:config

# 탐색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browser.cache

# 환경설정값을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browser.cache.disk.enable : true -> false
browser.cache.memory.enable : true (디폴트값)
browser.cache.memory.capacity : 512000(KB), 메모리 미사용시 -1(디폴트값)

Cache 정보 확인

  • about:cache : 현재 캐싱된 데이터 량과 종류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