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API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HTTP 메서드는 다음과 같아:
🔹 1. GET (읽기)
- 서버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
- 요청할 때 body가 없음 (주로 query parameters 사용).
- 예: GET /users → 사용자 목록 조회
🔹 2. POST (생성)
- 새로운 데이터를 서버에 추가할 때 사용.
- 요청 본문(body)에 데이터를 담아 전송.
- 예: POST /users → 새 사용자 생성
🔹 3. PUT (전체 수정)
- 기존 데이터를 완전히 덮어쓰기 할 때 사용.
- 기존 데이터가 없으면 새로운 데이터 생성 가능.
- 예: PUT /users/1 → id=1 사용자의 모든 정보 변경
🔹 4. PATCH (부분 수정)
- 기존 데이터의 일부만 변경할 때 사용.
- 예: PATCH /users/1 + { "name": "John Doe" } → id=1 사용자의 이름만 변경
🔹 5. DELETE (삭제)
- 특정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
- 예: DELETE /users/1 → id=1 사용자 삭제
ArcGIS의 Feature Service API에서는 updateFeatures 작업을 수행할 때 POST 요청을 사용해야 해.
🔹 왜 PUT이나 PATCH가 아니라 POST를 사용할까?
ArcGIS의 updateFeatures 엔드포인트는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데, 공식 문서에서도 POST 요청만 지원한다고 되어 있어.
즉, RESTful API의 일반적인 원칙과는 조금 다르게 동작하지만, ArcGIS API의 사양을 따라야 한다는 점이 중요해.
ArcGIS 공식 문서 참고:
- updateFeatures → POST 요청 사용
- addFeatures → POST 요청 사용
- deleteFeatures → POST 요청 사용
ArcGIS의 API는 PUT이나 PATCH를 따로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업데이트 시에도 POST를 사용해야 하는 구조야.
🔹 결론
✅ 현재 코드에서 업데이트 시 POST 요청을 사용하는 것이 맞다.
🚀 일반적인 REST API라면 PUT (전체 수정) / PATCH (부분 수정) 사용이 더 적절하지만, ArcGIS의 updateFeatures는 POST만 지원함.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IS에서 사진의 흰색 배경을 투명 배경으로 바꾸는 법 (0) | 2024.06.03 |
---|---|
JGW 월드파일이란? (jgw = tfw) (0) | 2024.06.03 |
Autocad에 항공사진을 좌표를 반영하여 삽입 하는 법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