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USB 부팅 설정 및 SSD 호환성 검토 (JMicron)


 

라즈베리파이 4  부팅순서 설정

# 환경설정 실행하기
sudo raspi-config

[Advanced Options] - [Boot Order] 에서 SD부팅/USB부팅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USB부팅을 하고자 하면, 편하게 SD카드를 넣지 않는 것도 방법이다.

 

 

라즈베리파이 4  SSD USB 부팅 테스트

라즈베리파이 4의 SSD 부팅 가능여부는 OS와 외장 케이스(컨트롤러) 종류의 영향을 받는다.

SSD/HDD Sata to USB 케이스 중 JMicron이 채택된 것은 거의 부팅이 불가했다.

 

(1) 테스트용 SSD 

  • Micron Crucial BX 500 2.5 SSD (240GB)
  • Micron Crucial MX 500 2.5 SSD (500GB)
  • Imation 2.5" 240GB SSD A320

(2) 외장 케이스

  • IPTIME HDD 3125 : 컨트롤러 모름 (JMircron  표시 안뜸)
  • ORICO : 컨트롤러 모름 (JMircron  표시 안뜸)
  • 퀄리티어슈런스 Q6G HDD SLIM - 5000원 : 컨트롤러가  JMicron 임

 

(3) 테스트 결과

OS iptime case
Orico case
JMicron case
Raspberry Pi OS bullseye (32 -bit) (2023-02-21) X X
Raspberry Pi OS bullseye (64 -bit) (2023-02-21) X X
Raspberry Pi OS buster (Legacy) (2023-02-21) O X
Ubuntu Desktop 22.10 (64-bit) (2022-10-20) X X
Ubuntu Desktop 22.04.2 LTS (64-bit) (2023-02-17) X X

*  상기 결과는 USB3.0포트에 연결하여 테스트 함.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인데, 아래 아래 JMicron을 참고한다면 USB2.0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올지도 모른다.

 

Orico Case 부팅 결과 (USB3.0 vs USB2.0)

 아래 모델은 SSD - USB3.0 부팅이 가능했다.

아래 모델은 컨트롤러를 알 수는 없었지만, JMicron이라고 나오지 않았지만 SSD - USB3.0 부팅이 가능하지 않았으나, SSD - USB2.0 부팅은 가능했다.

 

 

JMicro case  부팅 안되는 현상 해결법

라즈베리파이 4에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될 수도 있다.

sudo -E rpi-eeprom-config --edit

# you edit the EEPROM BOOTLOADER then you the next configuration:
USB_MSD_PWR_OFF_TIME=0

USB3.0 포트와 USB2.0 포트 모두 연결해 볼 필요 있음.

 

OS JMicron case
(USB3.0포트 연결)
JMicron case
(USB2.0포트 연결)
Raspberry Pi OS buster (Legacy) (2023-02-21) O(랙 걸림) O(원활) 
Ubuntu Server 22.04.2 LTS (64-bit) (2023-02-17) X 테스트 못함
Ubuntu Server 22.04.2 LTS (32-bit) (2023-02-17) X 테스트 못함
Ubuntu Server 22.04.3 LTS (32-bit) (2023-08-10) X X
Ubuntu Server 20.04.5 LTS (64-bit) (2022-09-01) X 테스트 못함
Ubuntu Server 20.04.5 LTS (32-bit) (2022-09-01) X 테스트 못함
Ubuntu Desktop 22.04.03 LTS(64-bit) (2023-08-10) X X